 |
 |
국악음반박물관 소장 행사 인쇄물 관리번호 MILIVEP-0162
제1회 대한민국 국악제(제5공화국 출범 경축 예술전) 안내 인쇄물
공연 일시: 1981년 8월 20~25일
공연 장소: 서울 문예회관
주최: 한국문화예술진흥원/한국국악협회
후원: 문화공보부/한국방송공사/예총
협찬: 명성그룹
총 76쪽짜리 국ㆍ영문 인쇄물. 공연 내용 해설 글과 출연자들 흑백사진, 출연자 명단 등 수록.
[공연 내용 해설 글 목록]
전통의 전수와 창조(글/송지영)
국악의 이해(글/장사훈)
창극의 밤, 박타령-구체적인 소리를(글/오태석)
민요 곡목 해설(글/한명희)
사물놀이(글/이보형)
가야금병창 해설(글/이성천)
김윤덕류 거문고산조, 한주환류 대금산조 해설(글/이성천)
판소리 해설(글/이보형)
아악 해설(글/성경린)
범패와 영산회상 해설(글/한만영)
시조 해설(글/최종민)
도살풀이춤 해설(글/정병호)
성창순 심청가 해설(글/이보형)
가곡 해설(글/최종민)
가야금산조 해설(글/이성천)
[대극장 공연 순서]
1981년 8월 20일 개막 연주의 밤(성경린 집박 국립국악원 연주단 아악, 김용진 지휘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창작국악)
1981년 8월 21~22일 창극의 밤, 박타령(연출:오태석, 창 지도ㆍ도창:김소희, 안무:국수호, 놀보:허희, 놀보처:박양덕, 흥보:윤석기, 흥보처:안향련, 마당쇠:김일구, 흥보 큰아들:왕기철, 흥보 막내아들:유미리, 도승:이용길, 동자:유수정ㆍ백현미, 삼신할미:조순애, 박속의 노인:성순종, 추월:조애랑, 각설이패:조금앵ㆍ김효순ㆍ유수정ㆍ백현미, 꾀득이:박영규, 도창 고수:김득수, 공연 고수:김동준, 대금:이생강, 해금:전태용, 아쟁:박대성, 피리:김한국)
1981년 8월 23일 민속악의 밤(경기민요:안비취ㆍ묵계월ㆍ이은주ㆍ이금미ㆍ이춘희ㆍ이호연ㆍ최영숙, 서도민요:김정연ㆍ오복녀ㆍ이춘목ㆍ김경성ㆍ김광숙ㆍ이연희, 남도민요:성우향ㆍ안향련ㆍ박양덕ㆍ유수정ㆍ김수연, 경서남도 민요 장고:장덕화, 가야금:권혁태, 해금:김한국, 피리:김찬섭, 대금:박동현 / 경기입창:이창배 일행 / 사물놀이:김용배ㆍ김덕수ㆍ이광수ㆍ최종율, 가야금병창:박귀희ㆍ안숙선ㆍ오갑순ㆍ김성녀ㆍ안옥선, 가야금병창 장고:김동준)
1981년 8월 24일 산조와 판소리의 밤(김윤덕류 거문고산조:김선한 장고:이세환, 한주환류 대금산조:이생강 장고:김득수, 판소리:김소희ㆍ박초월ㆍ박동진 고수:김동준)
1981년 8월 25일 아악의 밤(국립국악원)
[소극장 공연 순서]
1981년 8월 21일 범패ㆍ영산회상(범패 짓소리:박송암ㆍ장벽응ㆍ김구해ㆍ마일운, 현악 영산회상-줄풍류:정농악회, 관악 영산회상-대풍류:해경악회)
1981년 8월 22일 시조와 민속무용(시조:정경태ㆍ김월하ㆍ이양교, 도살풀이:김숙자 반주:윤윤석ㆍ유홍란ㆍ정일동ㆍ이충선ㆍ서용석ㆍ임선문)
1981년 8월 23일 판소리 심청가 한판(소리:성창순, 고수:김득수ㆍ김동준)
1981년 8월 24일 가곡(25곡)(창:홍원기ㆍ전효준ㆍ김월하ㆍ조순자, 거문고:황득주, 대금:조창훈, 해금:김종희, 가야금:최충웅, 장고:김태섭, 피리:정재국, 단소:봉해룡)
1981년 8월 25일 가야금산조(김죽파류 가야금산조:김죽파,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:함동정월, 장고:김동준)
30년 넘게 매년 개최되고 있는 대한민국 국악제..
그 출발은 '제5공화국 출범 경축' 행사로 시작되었다.
|
2012-02-12 |
|